AI & IT/AI & IT 뉴스

6월 한 달간의 뉴스와 소식을 모아봅시다.

KuroBear 2025. 7. 1. 13:00

안녕하세요 😊

잠시 바쁜일이 있어 뉴스가 늦었습니다.

2025년 6월 1일부터 30일까지 IT·AI 분야는 기술·정책·산업·사회 전반에서 의미 있는 변화의 물결이 있었습니다.

글로벌 및 국내 뉴스, 블로그, 논문 자료를 종합해 10가지 주요 이슈를 선별하고, 각 주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했습니다.

각 항목마다 상세히 설명드리니, 끝까지 읽어보시면 6월 한 달간 IT·AI 흐름을 완벽하게 이해하실 수 있을겁니다!

같이 한번 살펴보시죠~


💵 SoftBank, ASI(초지능 AI) 플랫폼 선도 선언 및 대규모 투자

소프트뱅크 (사진 : The japan times)

 

SoftBank의 손정의 회장은 향후 10년 내 ASI(Artificial Super Intelligence)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전략과 함께, Ampere 인수(65억 달러) 및 OpenAI에 대한 400억 달러 후속 투자를 발표했습니다 .

이는 일반 AI에서 ASI로의 진화를 겨냥한 공격적인 전략으로, 글로벌 AI 경쟁의 새로운 분기점을 찍는 행보입니다. Arm IPO, T-Mobile 주식 매각으로 재원을 확보한 SoftBank는 이제 AI 및 로보틱스 인프라 확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미국 애리조나 ‘Project Crystal Land’처럼 제조와 AI 허브를 동시에 구축하려는 계획도 검토 중입니다.

한국 시장에서도 SoftBank의 움직임은 주요 기업의 전략 및 투자 방향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ASI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한국 기업들도 하드웨어와 플랫폼 역량 확보 전략을 검토할 시점입니다.

 

💼 덴마크, AI 딥페이크 방지 위한 초상권 법제 마련

6월 27일 덴마크 의회는 인물의 초상과 목소리에 대해 AI 딥페이크 생성 시 저작권처럼 보호받을 수 있도록 법을 통과시켰습니다.

 

이 법은 개인의 디지털 ‘초상권’을 보호하기 위한 첫 단계로 평가되며, 패러디와 풍자 예외 조항도 포함되었습니다.

AI 플랫폼은 사용자 업로드 이미지나 생성 콘텐츠에 대해 명확한 동의 절차를 거쳐야 하며, 위반 시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이는 AI 생성 이미지가 상업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개인 권리 보호와 기업 책임 강화를 동시에 추구한 선례입니다.


국제적으로도 AI 개인정보 보호 이슈에 본격 대응하려는 움직임으로, 국내 정책 대응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뉴욕주 RAISE 법안 통과 — AI 사고 시 안전보고 의무화

뉴욕주는 AI 시스템이 100명 이상 사망하거나 10억 달러 이상의 피해를 유발할 경우, 개발사에게 '안전보고서' 제출을 의무화한 RAISE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


OpenAI, Google, Anthropic 등 주요 AI 기업들은 향후 개발 단계에서 안전성 및 위험 관리 체계를 보다 엄격히 구축해야 합니다.
전 세계 최초 '주 단위 AI 사고 대응 법안'으로, 다른 주와 연방정부의 규제 흐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각에서는 “초기 단계에서 규제가 너무 엄격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안전 중심의 AI 발전 필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에선 이미 AI 기본법이 마련되었지만, 실질적 사고 발생 대응 체계 도입에도 관심이 모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Google DeepMind 앞 시위 — 안전 약속 지연 비판

구글 딥마인드 (사진 : AI넷)

 

6월 30일 런던 DeepMind 본사 앞에서 약 60명의 시민과 기술전문가들이 집회하며, Google이 2024년 서울 AI 안전 서밋에서 약속한 외부 평가 공개를 지키지 않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참가자들은 “AI 기업이 샌드위치 가게보다 규제받지 않는다”며 공개적 감시 강화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DeepMind의 최신 모델 Gemini 2.5 Pro는 내부 테스트만을 거쳤으며, 외부 검증 절차 미비가 공개의 핵심 불만으로 제기되었습니다.


시위 주최 측은 영국 의회와도 협력해 규제 제도를 마련하려 하고 있으며, AI 안전성·투명성 이슈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입니다.
이는 기업의 자율 규제를 넘어 입법·감시 기반이 필요한 시기를 반영합니다.

 

🕛 Microsoft 'Maia' AI 칩 생산 연기

마이크로 소프트 (사진 : 셔터스톡)

 

The Information 보도에 따르면, Microsoft의 차세대 AI 칩 ‘Maia(브라가 코드명)’의 대량 생산이 2025년에서 2026년으로 연기됐습니다.

 

디자인 변경 및 팀 이직 문제로 일정이 지연되었으며, 경쟁사 Nvidia 및 Amazon보다 뒤처졌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Maia 칩은 마이크로소프트 Azure 데이터센터에서 운용될 계획이었으며, 생산 지연은 인프라 전략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대안으로 Google TPU와 Nvidia GPU를 더 확대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회사는 늦어도 2026년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며, 차세대 AI 액셀러레이터 경쟁에서 여전히 한 축을 형성할 것으로 보입니다.

 

🏢 Meta, 슈퍼인텔리전스 랩스 출범

마크 주커버그가 개편된 슈퍼인텔리전스 랩 부서를 공개중 (사진 : NewTork Post - 로이터)

Meta의 마크 저커버그는 6월 30일 'Meta Superintelligence Labs'를 출범시키며, 알렉산더 왕 CTO를 중심으로 AI ‘초지능(superintelligence)’ 연구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50년 간 150억 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뤄지며, 구글-OpenAI와의 전면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Meta는 오픈소스 AI 모델을 지향하며, 다양한 인재 영입을 통해 연구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투자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인재와 기술 역량까지 동시에 확보하면서 실질적 성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메타 주가는 발표 직후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으며, 글로벌 기업들의 AI 전략 자체가 플랫폼 경쟁에서 학계 수준 연구 경쟁으로 확대되는 신호탄으로 해석됩니다.

 

📱 Google, iOS 26 및 macOS ‘Liquid Glass’ 디자인 공개

Liquid Glass (사진 : MHN 박성하 인턴 기자 뉴스 글)

 

Apple WWDC 2025에서 iOS 26, macOS Tahoe 등 차세대 운영체제의 'Liquid Glass' UI가 공개되었습니다.

 

iOS 26는 AI 기반 통화 스크리닝, 음성 메일 요약, 라이브 번역 기능을 추가하며, 자동 사진 보정과 메시지 기능 개선도 포함됩니다.
macOS Tahoe는 데스크탑 경험을 강화하였으며, iPadOS와의 인터페이스 통합도 진행되었습니다.


시리 혁신은 대기 중이지만, Foundation Models framework를 외부 개발자에게 공개하여 에코시스템 강화에 나섰습니다.
Apple은 온디바이스 AI 중심으로 개인정보보호와 성능 균형 전략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 TomTom, AI 전략 전환으로 300명 구조조정

네덜란드 지도·내비게이션 기업 TomTom은 6월 30일 전체 직원의 약 8%에 해당하는 300명을 AI 전략 중심 조직으로 재편한다고 밝혔습니다.


애플 및 구글 맵 경쟁과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구조조정이며, 운송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AI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전략입니다.


PwC 등은 2050년까지 60% 이상의 직무가 AI로 변화하거나 대체될 것이라 분석하며, 이 같은 사례는 현실화 조짐입니다.
자동차, 운송, 행정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에서 AI 재편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인도 Kruti — 다국어 에이전트형 AI 등장

6월 12일 인도 스타트업 Ola Krutrim은 다국어 에이전트형 AI ‘Kruti’를 공개했습니다.


Kruti는 13개 언어로 음성·텍스트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택시 호출·주문·이미지 생성 기능까지 통합된 AI 비서입니다.
Indian LLM 기반으로, 맥락 인식 및 메모리 기능을 포함해 사용자 맞춤형 대응이 가능한 에이전트형 AI입니다.
개발 모델의 유연성은 한국형 AI 에이전트 개발에도 참고가 될 만한 사례입니다.

 

📃 MIT광학칩 → AI 하드웨어 내재화 가능성 제시

6월 17일 중국 과학자들이 병렬 광컴퓨팅 칩을 발표했습니다 .


이 칩은 100개 이상의 파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머신러닝용 솔리턴 마이크로콤브 기술 기반입니다.
이는 실리콘 기반 전자 칩보다 저전력, 고속 연산이 가능하여 AI 하드웨어 구조 혁신의 단초가 될 수 있습니다.
MIT CSAIL 연구팀이 로봇에 적용하여 제어 효율을 높였듯이, 광칩 기반 AI는 향후 다이렉트 AI 연산 소재로 주목 받을 것입니다.

 

📊 10개 뉴스 이슈 정리

번호 주제 핵심 내용 기대 효과
1 SoftBank ASI 투자 Super AI 플랫폼 구축 전략 글로벌 AI 경쟁주도
2 덴마크 초상권 법제 딥페이크 방지 법안 개인정보 보호 강화
3 뉴욕 RAISE 법안 사고시 AI책임 상향 안전 중심 AI 체계 도입
4 DeepMind 시위 안전 공개 투명성 요구 감시 체계 강화
5 Microsoft Maia 연기 AI 칩 늦춰진 생산 일정 반도체 경쟁 재편
6 Meta 슈퍼랩 출범 초인공지능 연구 집중 플랫폼 경쟁 고도화
7 Apple OS 혁신 AI 기능 및 UI 고도화 사용자 경험 향상
8 TomTom 인력 구조조정 AI 중심 조직 혁신 산업 자동화 현실화
9 인도 Kruti 다국어 에이전트형 AI 에이전트형 AI 확산 가능
10 광컴퓨팅 칩 AI 하드웨어 구조 혁신 차세대 칩 생태계 변화

 

😊 마무리 인사

6월 한 달은 AI가 기술을 넘어 거버넌스, 법제도, 산업 구조, 하드웨어까지 전방위로 확장하는 시기였습니다.

이번 흐름은 2025년 이후 추진될 정책·연구·산업 전략에 방향성을 제시할 것입니다.

 

늦은 만큼 지난 한 달간의 뉴스와 소식들을 모아 보았습니다. 

앞으로도 깊이 있는 시각으로 국내외 IT·AI 이슈를 분석해 드릴 테니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